상완골 골절의 증상, 그리고 예방법 및 대처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.
1. 상완골이란?
상완골은 팔 중 상반신을 이루는 부분, 즉 어깨와 팔꿈치 사이에 위치하고 있는 긴 뼈입니다.
이 긴 뼈는 포관적으로 팔의 움직임을 지원하며, 각종 활동에 기능하도록 도움을 주는 곳입니다.
2. 상완골 골절의 증상
첫 번째로 팔 전체에 느껴질 정도로 극심한 통증이 생기며 통증지점은 골절된 부위에 따라 다르게 나타납니다.
두 번째로 부종과 피멍입니다. 부러진 주위에 부종과 피멍이 생기며 피멍은 골절의 심한 정도에 따라 다르게
나타납니다.
세 번째로 어깨를 움직이기 어려워집니다. 팔 굽힘, 뻗기, 회전 움직임에 영향을 미치며, 팔꿈치의 움직이 어렵습니다.
네 번째로 뚝뚝 거리는 소리와 마찰감이 생깁니다.
3. 대처법
첫 번째로 부상 부위 주변에 혹시 출혈이 있을 경우 천이나 붕대등으로 압박을 가아혀 출혈을 최소화하고,
두 번째로는 주 관절을 ㄱ라고 구부린 후 주변 물건, 부목, 의류등으로 움직이지 않고 고정하고 이동을 최소화하여야 합니다. 세 번째로 부어 오른 부위를 심장보다 높게 위치하록 하여 흐르는 피를 줄여 부종을 완화시켜야 합니다. 또한 얼음이나 차가운 물을 비닐에 싸서 가볍게 감싸주시는 게 좋습니다.
마지막으로 가급적 빠른 시일에 의료기관으로 이동하여 전문적인 검사와 치료를 받아야 합니다.
4. 예방법
1) 스포츠나 여가 활동 전 충분한 스트레칭으로 몸의 긴장을 풀어주고 적절한 안전 장비를 착용하여 부상의 위험을줄여야 합니다.
2) 일상생활에서 올바를 자세를 유치하고 스포츠 활동이나 업무 중 팔을 사용할 때 올바른 기술을 적용하여 부상을 방지하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.
3) 영양분을 잘 갖춰진 식사를 통해 뼈 건강을 유지하고, 칼슘과 비타민 D가 풍부한 식품을 섭취하는 것이 좋습니다.
마지막으로 상완골 골절은 선수들 뿐만 아니라 일반인들도 쉽게 다칠 수 있습니다. 스포츠나 여가 활동에 참여하는 경우 안전 수칙 준수를 잊지 말 건강하고 즐거운 활동을 할 수 있도록 해주시길 바랍니다.
'건강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손목터널 증후군 증상, 치료방법, 예방방법 (0) | 2023.08.26 |
---|---|
오십견의 원인,증상,운동방법, 치료방법 (0) | 2023.08.25 |
족저근막염의 발생 원인, 증상 및 치료, 예방법 (0) | 2023.08.24 |
무릎 십자인대 파열의 증상, 치료 및 예방법 (3) | 2023.08.23 |
아킬레스건 파열로 수술 해야 하는 증상 5가지 (2) | 2023.08.22 |